미세먼지 환기 시간 12시간마다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선 환기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거주하는 집 뿐만 아니라 실내라면 어디든 환기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할 수 있어요. 사실 평소와 같은 나날이라면 우리는 구태여 무언가를 하지 않더라도 일 1회 이상 창문을 열고 환기를 하는 편이고, 이외에 요리 등을 진행하면 의무적으로 환기를 하곤하죠.
근데 미세먼지가 심한날에도 환기를 해야하는가에 대해서는 다소 의문이 생길 수 있어요. 실내 공기가 아무리 안좋아도 바깥에 미세먼지 가득한 공기만큼 안좋을까? 싶은 생각에 되려 창문을 열어 환기하기 꺼려질 수 있구요.
하지만, 바깥 날씨, 미세먼지 유무 상관없이 환기는 1일 1회 이상 필히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깥 미세먼지 만큼이나 우리 일상생활 속에서 나오는 먼지들도 많거든요.
못해도 12시간에 1회 정도는 실내 공기를 환기 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니 1일 1회 환기 정도만 기억해주시면 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 환기는 중요해요
-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도 환기를 시켜주세요.
- 적어도 12시간에 1회 정도는 환기 시켜준다고 생각해주세요.
미세먼지 환기 시간 12시간마다
미세먼지 때문에 외출이 꺼려진다 부터 시작해서 환기를 해야하나? 싶은 생각까지, 다양한 생각이 드는데요. 그거 아세요? 적절히 환기를 해주지 않은 실내공간은 미세먼지 가득한 바깥 만큼이나 공기가 탁하다는 것을.
집 뿐만 아니라 사무실을 비롯하여 버스, 지하철, 자동차 등 각종 이동 수단까지, 우리들은 실내라는 공간에서 머무는 시간이 상당히 많죠. 각종 이동 수단 등은 잠시 거쳐가기에 실내 공기 탁함에 별달리 신경쓰지 않을 수 있지만 정말 많은 사람들이 오고다니기에 더더욱이 환기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예를들어볼께요, 미세먼지가 많은 날 잠시 외출을 하고 집으로 들어왔어요, 그러면 환기가 필요할까요 필요하지 않을까요. 필요하죠. 왜일까요? 바깥에 잠시 외출했던 순간 내 몸과 옷에 딸려들어온 미세먼지들을 바깥으로 내쫓아야하니까요. 그저 미세먼지 가득한 바깥에 오래 머무리지 않는 것만 중요한게 아니라 내부 공기 또한 굉장히 중요하거든요.
실내 공간은 건축자재, 가구부터 사는 사람들의 활동까지, 내부에서 발생되는 여러 먼지 및 오염물질과, 거주하는 사람들을 통해 들어오는 외부의 먼지, 오염물질까지 공존하는 공간이기에 적절한 환기가 필수라고 할 수 있어요.
환기를 통해서 실내에 차차 누적되어가는 오염물질들을 바깥으로 뺴주는 것이죠. 이렇게 환기를 통해 실내 오염 수준을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춰주는 것이 필수적이에요.
환기는 최소 12시간에 1회 정도는 진행해줘야한다고 생각해주시면 좋다고 하네요.
환기 중요성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도 환기를 해줘야할까에 대한 의문이 많죠. 실내 공기 순환시키겠다고 창문 열었다가 괜히 미세먼지 많은 바깥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되려 환기를 안하니만 못한 상태가 되는 것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 수 있는데요.
결론은 미세먼지 유무 상관 없이 꼭 필히 1일 1회 이상은 환기를 진행해주는 것이 좋다고 해요. 그 이유는 실내에 이뤄지는 우리들의 여러 활동으로 인해 나오는 먼지 및 오염물질 등이 누적되면 미세먼지 가득한 바깥 공기보다 더 좋지 않은 공기가 실내에 축적되기 때문이죠.
미세먼지 가득해서 외출을 꺼려하는 사람이 미세먼지 가득한 바깥세상 보다 더 좋지 않은 공기를 갖고 있는 실내에 머무른다? 말이 안되죠? 환기는 꼭 해주셔야해요.
우리가 아무리 활동을 한다고 해도 미세먼지 가득한 날보다 실내 공기가 안좋아질 수 있다고? 라고 할 수 있는데요,
통상 미세먼지 농도별 예보를 보면, 미세먼지가 0~30일 때 좋음, 31~80일 때 보통, 81~150일 때 나쁨, 151이상일 때 매우 나쁨이거든요. 헌데 실내에서 청소기를 돌리는 것 만으로 200~400 수준에 도달하게 되구요, 이불을 털면 실내 공기 오염도가 300~800 수준으로 올라가구요, 조리할 때에는 2500 내외의 수준까지 치솟는다고하니 우리들의 일상생활 속 다양한 활동이 얼마나 먼지를 많이 일으키는지 아시겠죠?
따라서 이불털기 및 청소 등을 진행할 때에는 필히 창문을 열어 환기를 동시에 진행해주셔야하구요, 요리할 때에도 역시 창문 열어놓고 해주는게 좋겠죠.
저도 글을 작성하다가 구체적인 수치를 확인하니 이게 확 와닿네요.
그나저나 놀라워요, 요리하는 것으로 이렇게 많은 먼지 수치가 나올줄은 생각도 못했거든요.
하기사, 겨울 같은 때에는 추워서 환기 하기 싫잖아요, 그래서 쉬는날 환기 안하고 집에 꾹 눌러붙어있으면 오후 정도 되면 슬슬 머리 아파오기 시작하는데 이게 괜히 그런게 아니라 실내 공기가 탁해져서 그렇다라는 것을 확실하게 알게 됐어요.
저도 글 마무리하고 창문 다 열어놓고 환기 한 번 해줘야겠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뇌염 예방접종 시기 (0) | 2023.04.14 |
---|---|
에스시탈로프람 (Escitalopram) 효과, 부작용 정리 (0) | 2023.04.10 |
가르시니아 (Garcinia) 효능, 부작용 요약 (0) | 2023.04.08 |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효능과 부작용 등 (0) | 2023.04.06 |
건강 챙기는 법 (0) | 2023.04.05 |